비트코인의 역사에서 잊을 수 없는 특별한 사건들! 비트코인 피자데이로 시작해, 잃어버린 하드디스크와 미식축구 경기장에서의 QR코드 행운까지, 비트코인의 여정을 더욱 흥미진진하게 만나보세요!
1. 비트코인 피자데이의 탄생: 1만 비트코인의 피자 거래
2010년 5월 18일, 미국 플로리다 주 잭슨빌에 사는 비트코인 포럼 이용자 Laszlo는 라지 사이즈 피자 두 판을 가져다주면 1만 비트코인을 지불하겠다는 게시글을 올렸습니다. 그는 비트코인으로 실물 거래를 시도해보고 싶었다며, 누군가 피자를 직접 만들어 오거나 배달시켜 주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당시의 비트코인 가치는 1만 BTC가 약 41달러에 불과했지만, 이 사건은 비트코인의 역사에 있어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Laszlo는 단순한 흥미로 피자를 주문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비트코인을 통해 실제 상품을 거래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싶었으며, 이는 비트코인을 실질적인 화폐로 발전시키기 위한 중대한 실험이었습니다. Laszlo는 GPU 채굴 방식을 고안하여 하루에 20블럭 이상을 채굴할 수 있었고, 이는 당시 다른 채굴자들의 10배에 달하는 성과였습니다. 하지만 사토시 나카모토는 이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이메일을 통해 "GPU 채굴이 채굴의 형평성을 해칠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습니다. 사토시는 GPU 채굴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확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판단해 이를 늦추기를 원했습니다.
이에 Laszlo는 자신의 채굴 능력을 활용해 실질적인 가치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생각했고, 비트코인으로 피자를 거래하려는 시도를 하게 됩니다. 게시글이 올라온 뒤 수많은 댓글이 달렸지만, 거래를 성사시키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마침내 5월 22일, 런던에 사는 포럼 유저 jercos가 자신의 신용카드로 피자를 대신 주문해주는 방식으로 거래가 성사되었습니다. Laszlo는 약속한 1만 비트코인을 jercos에게 송금했고, 파파존스 피자 두 판을 집으로 배달받았습니다.
이 사건은 비트코인 최초의 실물 거래로 기록되었고, 이후 5월 22일은 '비트코인 피자데이'로 기념됩니다. 당시 1만 비트코인은 41달러였지만, 2024년 11월 기준으로 그 가치는 약 9억 달러(한화 약 1조 2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Laszlo는 인터뷰에서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비트코인의 실용성을 입증한 역사적인 거래였다고 강조했습니다.
2. 7,500 비트코인이 들어있는 하드디스크를 잃어버린 남자
2013년, 영국의 IT 엔지니어 제임스 하웰스(James Howells)는 무심코 7,500 비트코인(BTC)이 들어있는 하드디스크를 버리면서 역사적인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제임스는 초기 비트코인 채굴 열풍에 참여한 인물로, 당시엔 재미삼아 채굴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비트코인을 약 7,500개 채굴한 뒤, 채굴 과정에서 발생하는 컴퓨터 소음 문제로 인해 애인의 불만을 사게 되었고, 결국 채굴을 멈췄습니다.
이후 하웰스는 채굴했던 데이터를 보관하던 컴퓨터가 음료수로 인해 고장 나자, 하드디스크만 분리해 따로 보관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하드디스크의 존재를 잊었고, 결국 2013년 여름, 대청소 도중 이를 쓰레기장에 버리고 말았습니다. 4개월 후, 하드디스크에 들어있던 비트코인을 기억해냈지만 이미 하드디스크는 쓰레기 매립장 깊은 곳에 묻혀 있었습니다. 쓰레기 매립장 직원들은 하드디스크가 1m 이상의 쓰레기 더미 아래에 묻혀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답했습니다.
2021년 기준, 1 BTC의 가격은 약 5천만 원에 달했으며, 7,500 BTC의 가치는 약 4천억 원에 이르렀습니다. 하웰스는 비트코인을 찾기 위해 시 당국에 쓰레기 매립장을 파헤칠 권한을 요청하며, 발견 시 비트코인 가치의 25%를 기부하겠다고 약속했으나 거절당했습니다. 환경 문제와 성공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 하웰스는 포기하지 않고 여전히 법적 소송을 준비 중이며, 2024년에도 그의 하드디스크는 여전히 쓰레기장 어딘가에 묻혀 있습니다.
3. 미식축구 경기장에서 비트코인 QR코드로 대박을 터뜨린 대학생
2012년 12월 31일, 미국 대학풋볼 시즌의 피날레 경기에서 한 대학생이 비트코인 QR코드와 함께 "Hi mom, send Bitcoin"이라는 문구를 적은 팜플렛을 들고 응원하던 장면이 생방송으로 포착되었습니다. 이 경기는 앨라배마 대학교와 오번 대학교의 라이벌전으로, 열정적인 팬들의 응원으로 유명한 경기였습니다. 해당 장면은 ESPN 방송을 통해 송출되었고, 이를 본 누군가가 QR코드를 캡처해 레딧(Reddit)에 공유하면서 큰 반응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생방송 캡처본이 온라인에 퍼지자, 전 세계의 비트코인 유저들이 해당 QR코드로 비트코인을 보내기 시작했습니다. 며칠 사이에 약 22 BTC(당시 약 2,600만 원 상당)가 모였습니다. 이 사건은 비트코인의 자유로운 송금 기능과 네트워크의 강점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후 QR코드를 활용한 유사한 장난이 인터넷에 퍼지면서 가짜 QR코드 사기도 늘어나게 되었지만, 당시 이 대학생은 비트코인을 통해 뜻밖의 행운을 얻게 된 대표적인 사례로 기록되었습니다.
이 글은 비트코인의 역사 속 잊을 수 없는 순간들을 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이런 흥미로운 사건들이 없었다면, 지금의 가치를 갖추지 못했을지도 모릅니다. 당신이라면 2010년에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었다면 어떤 선택을 했을까요?
'★금융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의 목적과 유형,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뜻과 차이점 (0) | 2025.02.06 |
---|---|
합리적 소비와 바람직한 소비의 차이점 (0) | 2025.02.05 |
2025년부터 변경되는 은행 업무방식 7가지 (1) | 2025.01.02 |
2024년 부동산시장을 보는 눈 : 소박스권 장세 예상 (0) | 2024.07.03 |
비트코인 반감기 완료…가격 변동폭 일단 "안정적 유지" (0) | 2024.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