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지능형 로봇시장 '25년까지 연평균 32% 성장
✔ 삼성전자·LG전자·현대차 등 대기업 로봇 사업 강화 행보
✔ 정부 지원 정책·대기업 로봇사업 발표 시 관련주 부각
테마소개
지능형 로봇은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해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로봇을 의미. 지능형 로봇은 로봇의 3대 패러다임인 감지(Sense), 사고(Think), 행동(Act) 각각의 요소에 자율성이 추가된 로봇으로, 산업용 로봇이든 서비스 로봇이든 모두 지능형 로봇으로 볼 수 있음(출처 : LG경제연구원).
지능형 로봇은 크게 제조업용 로봇과 서비스용 로봇으로 분류. 서비스용 로봇은 다시 농림업, 국방, 우주, 해양 의료, 복지, 공공작업, 빌딩서비스 등의 전문 서비스용과 건강관리, 교육 여가지원, 생활지원, 가사 등의 개인 서비스용으로 구분.
서비스용 로봇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서비스형 로봇은 안정성, 효율성, 편리성 등 다양한 관점에서 삶의 질을 향상. 이는 노령인구 증가와 출산율 감소하는 시대적 흐름에 적합.
글로벌 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20211년 362억원에서 2026년 1033억 원으로 연평균 23.3% 성장할 것으로 전망. 이는 연평균 성장률이 14.3%로 예상되는 산업용 로봇보다 성장 기대치가 높은 수준(출처: 신한금융투자).
지능형 로봇 관련주는 정부 육성·지원 정책 추진 이슈에 부각. 윤 대통령 당선인은 5대 메가테크 육성 공약에 로봇 산업을 포함. 이들 분야의 초격차 연구개발(R&D)을 강력히 추진하겠다는 구상. 안보국방 분야에서도 로봇을 핵심 산업으로 내세우며 현재 유인 중심의 전투 체계를 AI기반의 무인·로봇 중심으로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
또한 대기업의 로봇 산업 진출로 인한 시장 확대 및 인수합병 기대감에도 부각. 삼성전자는 정기주주총회에서 향후 신성장 육성 사업으로 로봇을 꼽음(2022.03.16). 앞서 2021년 12월 삼성전자는 조직개편을 통해 '로봇사업 TF'를 '로봇사업팀'으로 격상해 관련 조직을 강화.
업계에선 삼성전자가 로봇 분야 유망 업체를 대상으로 인수합병에 나설 가능성을 제기. 삼성전자는 2021년 8월 시스템 반도체와 바이오, 차세대 통신,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분야에 향후 3년간 240조 원 규모 신규 투자를 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음.
이외 LG전자, 현대차 역시 로봇 산업을 미래 신사업으로 낙점. LG전자는 과거 SG로보틱스, 로보스타 등 로봇기업을 잇달아 인수한 바 있으며, 'LG 클로이 서브봇’ 등을 출시했었음. 현대차는 2021년 6월 약 1조 원을 투자해 글로벌 로봇 업체 미국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하고 로봇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
한편, 국내 로봇 관련 상장사는 크게 로봇에 들어가는 부품을 제조하는 기업, 서비스·제조용 등 완성로봇을 제조하는 기업, 로봇의 SW(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기업으로 구분.
관련주 소개
미래컴퍼니
국내 최초 복강경 수술로봇 '레보아이(Revo-i)'를 개발해 출시.
- 동사는 1984년 11월 미래엔지니어링으로 설립한 후 1992년 12월 미래엔지니어링으로 법인전환되고 2004년 미래컴퍼니로 사명 변경함. 2005년 1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동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비 연구 개발 및 제조하는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자회사 미래디피를 통해 Touch 패널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동사는 Edge Grinder를 국내 최초 자체 개발에 성공하였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1% 증가, 영업이익은 153.3% 증가, 당기순이익은 137.4% 증가. 매출액이 증가하면서 매출원가와 판관비가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이 더 큰 폭으로 상승함.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기업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해외 대표 기업 BOE, CSOT 등 대부분의 글로벌 패널 제조 기업에서 동사의 Edge Grinder 등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를 사용하고 있음.
소니드
자회사 소니드로보틱스(지분율 50%)는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등을 개발·판매(2022.09.30 기준).
- 현재 OLED 및 LCD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정밀화학소재와 IoT에 적용되는 무선전자 태그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음. 2010년 10월 30일에 코스닥 상장법인인 주식회사 SC팅크그린과 합병함.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NFC 안테나 생산 및 성능향상에 매진하고 있으며,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와 안정적인 공급관계를 형성하고 있음. 베트남에 제조공장을 설립하여 빠른 시장 수요에 대응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3.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83.2% 감소. 동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매출 증가에 따라 매출원가와 판관비 부담은 늘었지만 이익률 상승 효과가 커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함. 동사는 전도성 페이스트 제조기술과 투자시설을 바탕으로 다양한 인쇄전자 Application을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있음.
큐렉소
수술용 로봇과 재활용 로봇 제조 및 판매. 핵심 제품은 인공관절 수술로봇 ‘티솔루션원’, 재활치료로봇인 모닝워크 등.
- 동사는 1992년 12월 29일 설립되어, 2002년 7월 코스닥 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동사의 의료기기사업부문은 정형외과 수술로봇인 티설루션원, 재활치료로봇인 모닝워크와 기타 의료기기를 판매하며, 무역사업부문은 식품원료를 수입/판매함. 무역사업부의 상품은 발효유 원재료 매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품목은 치커리(chicory) 식이섬유, 결정과당 등이며, 이외의 매출품목은 과채음료 원재료, 라면 원재료 등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8.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48.7% 감소. 동사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70% 가까이 느는 등 큰 폭으로 성장하면서 이익률이 증가해 영업이익이 흑자전환함. 당기순이익은 적자이지만 적자폭을 줄임. 동사의 보행재활로봇 모닝워크는 2만 회 이상의 임상 실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을 인정받고 있음.
로보티즈
로봇솔루션 전문기업. 핵심 기술은 서비스 로봇 구축 설루션이며 크게는 로봇전용 액츄에이터(제품명: 다이나믹셀)와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소프트웨어로 구성. 자율주행 로봇을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상용화를 목표로 향후 3년까지는 주력 개발사업으로 투자를 계속 확대할 계획. LG전자의 서비스로봇 분야 사업화를 위한 협력 파트너이기도 함.
- 동사는 1999년 3월 25일에 설립되어 서비스로봇 솔루션설루션 및 로봇부품을 연구 개발, 생산 및 판매하고 있음. 동사의 핵심 기술(제품)은 서비스 로봇 구축 설루션이며, 로봇전용 액츄에이터와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음. 또한, 시스템 통합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의 강점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로봇을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기획 및 추진하고 있으며, 주력 개발사업으로 투자를 계속 확대할 계획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5% 증가, 영업손실은 94.3%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로보티즈의 대표 브랜드인 다이나믹셀은 2021년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됨. 자율주행 로봇은 최근 온라인 쇼핑 확대, 최저임금 상승 및 주 52시간 근무 문화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의 보완 및 대체제로 주목받고 있음. 이에 동사는 자율 주행 로봇 '집개미'를 개발 중.
로보로보
교육용 로봇 전문 업체. 초등학생 및 유아를 위한 로보키즈, 로보키트 등과 로봇용 학습 소프트웨어 등 교육에 사용되는 로봇 등 생산.
- 주요 제품은 교육용로봇, 로봇용 학습소프트웨어, 관련 교재 등 교육에 사용되는 로봇 및 부수제품을 연구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음. 국내 방과후학교 교육 서비스 제공(생명 과학 및 코딩 분야)을 담당하는 ‘주식회사 러닝온’, 관련 위탁서비스업을 담당하고 있는 ‘주식회사 씨디에이에듀’라는 두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교육용 로봇 기업임. 국내외 탄탄한 판매 인프라를 확보하며 명실상부한 교육용 로봇 업계의 선두업체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9% 증가, 영업손실은 84.9%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교육용 로봇 및 교재, 방과 후위탁서비스 등 매출 증대가 전체 외형 성장을 견인함. 원가율 개선에도 성공하며 적자폭이 크게 줄어듦. 기존 해외시장인 중국을 포함하여 다른 해외국가에서도 대형 바이어 발굴을 통한 독점국가 확대와 더불어 B2C 개척을 위해 크라우드 펀딩등의 브랜드 홍보를 진행할 예정.
고영
3차원(3D) 측정기술 기반으로 한 뇌수술용 의료로봇인 '카이메로' 개발. 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뇌수술용 의료로봇(뇌수술 시 영상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하는 수술보조용 로봇)에 대한 제조허가 획득.
- 동사는 전자제품 생산용, 반도체 생산용 3D 납도포검사기, 3D 부품 장착 및 납땜 검사기, 반도체 Substrate Bump 검사기 등을 제조해 판매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전자 제조 전문 서비스(EMS)업체,휴대폰,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등에 제품을 공급함. Japan Koh Young Co., Ltd, Koh Young Europe Gmbh 등 5개 회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5% 증가, 영업이익은 5.2% 증가, 당기순이익은 38.5% 증가. 최근 들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초연결화, 초지능화를 위하여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을 위한 하이엔드 모듈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또한 인포테인먼트, ADAS, 전기차 상용화등에 따라 자동차 주요 구성품의 전자기기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유진로봇
지능형, 청소로봇, 물류로봇 등을 개발 및 판매하는 로봇 전문 생산기업. 주력제품으로는 청소로봇 '아이클레보'를 비롯해 유비쿼터스로봇 '아이로비큐'와 위험작업로봇 '롭해즈' 등이 있음. 3D라이다(LiDAR) 센서와 자율주행 솔루션 등 로봇 부품과 설루션 기술 개발 진행.
- 1988년 설립되었으며, 2005년 상장됨. 자율주행 로봇솔루션, 물류로봇, 청소로봇 및 스마트팩토리 분야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언택트 시대 자율주행 기술 및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동사는 그동안 축적된 노하우 및 신규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에 필요한 토털 설루션(AMS: Autonomous Mobility Solution)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0.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지난해 출시한 로봇청소기 신제품 매출 및 해외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고, 지난해부터 추진한 자율주행솔루션과 로봇화패 키지 등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이 주효함. 2020년도부터 진행된 자회사 지분매각에 따른 경영 효율화 노력이 빛을 발하는 중. 2022년 8월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코리아와 30억 원 단일 판매 계약을 체결함.
GST
계열사 로보케어(지분율 65%)가 치매 치료 및 케어 로봇, 인지훈련 로봇, 기계식 감정 교류 로봇 개발(2021.12.31 기준).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제조공정에서 사용후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가스정화장비인 Scrubber와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하여 공정효율을 개선하는 온도조절 장비인 Chiller를 제조하고 있음.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Acid 및 VOC(휘발성 유기화합물) 가스를 처리하는 VOC농축장비도 제조함. 2021년 12월 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이에스티, 로보케어 등 국내외 10개사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3% 증가, 영업이익은 22.1% 증가, 당기순이익은 29.1% 증가.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정책 등에 따라 온실가스배출 감소, 에너지 고효율 제품도입 등 기후변화와 친환경 대응을 위해 Scrubber에 대한 관심 증가가 전망됨. IT소비재가전, 자율주행차량, 빅데이터관련 산업으로 대표되는 미래형 산업규모확대로 앞으로도 전반적인 반도체 시장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매커스
비메모리 반도체 솔루션 기업. 인공지능 로봇이나 가상현실 제품 개발에 사용되는 FPGA 반도체가 주력 제품.
- 동사는 비메모리 반도체인 PLD 반도체(FPGA 반도체)와 아날로그 반도체 등을 기술영업을 통해 판매하고 기술지원하는 `비메모리 반도체 설루션` 업체임. 종속회사로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대한 투자 및 인수업을 영위하는 매커스인베스트먼트와 스토리지 및 서버 유통업을 영위하는 매커스시스템즈가 있음. 매출구성은 비메모리 반도체 등 88.09%, 영업수익 1.3%, 스토리지 등 0.45% 등으로 구성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6.5% 증가, 영업이익은 65.6% 증가, 당기순이익은 18.9% 증가. 주력제품인 자일링스사의 FPGA 반도체 시장 점유율을 확대. 비메모리 반도체 매출 증가 및 이에 따른 이익이 증가함. 동사와 공급계약( FPGA 반도체)을 체결하고 있는 자일링사는 전 세계 시장의 50~55%를 점유하는 FPGA 반도체의 선도업체.
싸이맥스
반도체 제조과정에 필요한 장비를 생산하는 반도체장비(웨이퍼 이송장비) 제조사. 지능형 서비스 의료용 로봇(노인치매예방 의료용 로봇) 제조업도 영위.
- 반도체장비 사업과 환경설비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기술 경쟁력 확보와 시장 확대로 매출 성장이 기대됨. 제품의 선행개발, 제조공정 개선 및 품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개발등을 통해 차세대 장비 개발 및 원가절감을 지속적으로 진행. 장비에 적용되는 주요 부품들은 전문화된 업체에서 조달중. 차세대 장비 개발 완료 및 출하를 시작한 가운데,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장비 공급 시행.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8% 감소, 영업이익은 26.2% 감소, 당기순이익은 39.6% 감소. 유럽 수출 매출이 전년에 비해 급감하였고, 환경설비사업부문의 신규수주 역시 감소함에 따라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급감. 신규 시설 투자로 인한 Capa 확대 예정. 본업 장비인 EFEM뿐만 아니라 신규 사업인 로봇설비 포함한 신규 시설 투자 예정에 따른 Capa 확대가 예상됨.
아진엑스텍
반도체 제조 및 검사 장비 자동화에 필요한 모션제어 칩, 모듈, 시스템을 생산. 신사업으로 정부 및 글로벌 기업의 지원을 받아 로봇용 컨트롤러, 액추에이터 등을 개발 중.
- 1997년 12월 29일에 주식회사 아진전자산업으로 설립됨. 2001년에 주식회사 아진엑스텍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음. 동사는 2013년 7월 1일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코넥스 시장에 주식을 상장했으며, 2014년 7월 24일 코스닥 시장으로 이전 상장하였음. 반도체 장비 및 스마트폰 장비와 같은 제조 및 검사 자동화 장비의 제어기 국산화 전문기업, 제조용 로봇 제어기 전문기업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6% 감소, 영업이익은 48.5% 감소, 당기순이익은 36.7% 감소. 매출액이 소폭 증가한데 비해 판관비와 인건비가 대폭 오르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0%넘게 감소함. 향후 2차전지, OLED, PCB 등과 같은 차세대 장비에도 진출해 외부 경기 변동에 의한 위험을 분산하고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확보하려 함.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봇, 로봇부품, 로봇자동화기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제작업체. 국내 유일의 인간형 이족 보행 로봇 플랫폼 기술 보유. 또한 협동로봇 및 천문 관측용 마운트 시스템 기술 보유.
- 한국과학기술원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전문 벤처기업으로 한국 최초의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HUBO' 가 회사의 근간임. 제품군은 크게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협동로봇 및 천문 관측용 마운트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음. 로봇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초정밀 지향 마운트를 개발하였으며, 취미 활동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최근 군사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운트를 개발하여 시장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1.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협동로봇 시장의 높은 관심으로 외형은 크게 확대되었으며, 원가 동반 성장에도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됨. 동사는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을 개발하기 위한 핵심 부품 및 요소 기술을 내재화하여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설계된 이족보행 로봇은 주로 선진국에서 연구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음.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팅·밸브 관련주 테마주 이슈 / 뉴스 / 소개 (0) | 2023.02.01 |
---|---|
제조용 로봇 (스마트팩토리) 관련주 테마주 이슈 / 뉴스 / 소개 (0) | 2023.02.01 |
원격의료 관련주 테마주 이슈 / 뉴스 / 소개 (0) | 2023.02.01 |
조선 대표주 관련주 테마주 이슈 / 뉴스 / 소개 (2) | 2023.02.01 |
건설기계 전쟁 재건 관련주 테마주 이슈 / 뉴스 / 소개 (1)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