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카, 전기・전자・통신 기술을 융합해 편의를 제공
✔ 소프트웨어, 자율주행 기술, 커넥터, 카메라 등에 기대감↑
✔ '22년 레벨 3 자율주행차 출시 시작..'27년 레벨 4 상용화 목표
테마소개
스마트카(smartcar)란 전기・전자・통신 기술을 융합해 고도의 안전・편의를 제공하는 자동차로 통신망에 상시 연결된 '커넥티드카'라고도 불림.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닌 모든 단말이 연결되는 IT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중. 이에 따라 관련 부품 및 소프트웨어 등에 기대감이 높아지는 중.
1) 소프트웨어 및 모듈·부품 : 스마트카는 하드웨어(HW)보다 소프트웨어(SW)의 성능이 중요. SW업그레이드 만으로 차량의 기능이 바뀌고 성능에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 스마트카 관련 모듈·부품은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장치)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 중.
2) 자율주행차 : 스마트카로 가기 위한 중간 단계인 '자율주행차'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핸들, 가속 페달 등을 제어하지 않아도 도로의 상황을 파악해 자동으로 주행하는 자동차를 의미함.
3) 커넥터·센서 : 커넥터는 부품 간 전기적 특성을 연결해주는 전장화 필수 부품. 자동차용 센서는 차량 주행 속도, 가속도 및 거리 측정 용도. 자동차가 전자기기처럼 진화하면서 자동차용 커넥터와 센서 탑재량 증가 추세.
4) 카메라부품 : 자동차가 점차 전자기기처럼 진화하면서 자동차 1대당 탑재되는 카메라 수 증가. 자율주행 발전에 따라 2021년 레벨 2 기준 대당 평균 7~8대가 탑재되던 차량용 카메라는 2022년 레벨 3 기준 최소 12개 이상 탑재(출처: 교보증권)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는 2020년 70.5억 달러(약 8조원)에서 2035년 약 1조 1000억 달러(약 1300조 원)로 연평균 40% 성장할 것으로 예상(출처:Navigant research). 국내 시장 역시 2020년 1509억 원 규모에서 2035년 26조 1794억 원으로 연평균 40% 성장 예상(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KISTI, KPMG).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 1~5단계로 구분. 현재 양산차에 적용된 기술은 레벨 2로 부분 자동화 단계. 자율주행 기술은 부분 자율주행을 제공하는 레벨3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음. 글로벌 레벨 3 이상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는 2025년 1500억 달러에서 2035년 1조 1000억 달러로 성장 전망(출처:소프트웨어 정책연구소).
한국 정부는 2022년 조건부 자율주행(레벨3), 2027년 완전자율주행(레벨 4) 상용화를 목표로 관련 제도 및 인프라 선제 마련. 우선 대중교통 체계부터 자율주행 기반으로 전환. 2025년 완전 자율주행 버스·셔틀 서비스를, 2027년 구역 운행 서비스를 상용화할 계획. 또한 2027년까지 1조 1000억 원 규모의 레벨 4 고도화를 위한 국가 연구·개발(R&D)도 지원. 아울러 2030년까지 전국 도로(약 11만㎞)에 완전자율주행차량을 지원할 수 있는 실시간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고, 전국 단위 정밀도로지도를 구축하기로 결정. (2022.09.19)
2022년 자동차시장에 자율주행 레벨3 차량 대거 출시 예정. 벤츠는 2022년 중반부터 벤츠 S클래스와 전기차 EQS 등에 레벨 3을 적용 계획. BMW도 차세대 7시리즈와 전기차 등에 레벨 3 탑재 예정.
현대차도 2022년 하반기 자율주행 레벨3 기술을 처음으로 적용한 양산차를 출시 예정. 또한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 일부 지역에서 자율주행 4단계 기술을 적용한 아이오닉 5로 카헤일링 시범 서비스인 ‘로보라이드’의 실증에 나서(2022.06.09). 이를 바탕으로 레벨 4 자율주행차가 복잡한 교통 환경에서도 안전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
미국 테슬라는 자율주행 프로그램 오토파일럿 등 신경망 기반 완전자율주행(FSD) 베타 서비스 출시. 북미지역에서 2022년 2분기 말 기준 FSD 사용자 10만여명 달성. 업계에서는 FSD가 아직 운전자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해 미국 자동차공학회(SAE) 분류상 레벨 2를 조금 웃도는 수준이라 평가. 테슬라는 OTA(무선 업데이트) 방식을 도입해 오토파일럿과 FSD를 지속 업데이트하며 자율주행 기능을 추가하고 있음.
블룸버그통신은 애플이 2025년까지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전기차인 애플카(가칭)를 선보일 것이라고 보도(2021.11.18). 애플은 '세계개발자대회(WWDC) 2022'에서 새로운 자체 칩셋 M2와 차세대 카플레이 업데이트를 공개. 고성능 칩셋과 새로운 카플레이는 애플에서 자율주행차를 기반으로 하는 '애플카'를 준비하고 있음을 시사(2022.06.08).
관련주 소개
모트렉스
스마트카, 자율주행자동차, 커넥티드카 및 스마트카의 필수 장치 HUD(Head Up Display), ADAS 등 개발·제조.
- 2001년 10월 설립된 동사는 IVI, HMI를 필두로, 4차산업혁명의 화두인 스마트카, 자율주행자동차, 커넥티드카 및 스마트카의 필수 장치에 해당하는 HUD, ADAS 등을 개발, 제조함. 주요 매출 품목은 Automotive HMI 기술을 적용한 IVI 제품이며 PIO 비즈니스 방식으로 제품을 공급 중임. 지속적인 R&D를 통해 미래 지향적인 In-Vehicle-Infotainment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들을 확보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2% 증가, 영업이익은 33% 증가, 당기순이익은 48.4% 증가. 전장용품 사업 중 암레스트 콘솔일체형 공기청정기는 인도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으며, 인도시장에서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및 글로벌 향지로 제품의 파생 개발을 추진 중임. IVI시스템과 RSE시스템에 대한 개발 및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목적형 이동수단 디스플레이를 적극적으로 개발 중.
엘엠에스
한국자동차연구원과 소형 반도체 칩 형태의 라이다(반사된 레이저로 물체 거리를 감지하는 기술) 국산화 기술 개발 중.
- 동사는 1999년 2월 설립되었으며, LCD BLU의 핵심부품인 프리즘 시트의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현재 중소형시장은 약 4천억 규모의 시장으로 동사와 3M 사가 양분하는 독과점 시장을 구성하고 있음. 동사는 미쓰비시레이온과 역프리즘시트에 대한 특허 라이선스계약을 체결하여 기존 보유하고 있던 기술에 접목, 프리즘시트의 초고휘도화를 통해 독점적인 시장지배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2% 증가, 영업손실은 92% 감소,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복합 프리즘시트 등의 수요 증가로 견조한 수준의 외형 성장을 이뤘고, 매출원가율 개선, 인건비 등 판관비 통제 등의 효과로 영업손익과 순손익 개선을 보이고 흑자전환에 성공함. 동사는 AMOLED, Mini LED, 지문 인식 등의 관련 신규 사업 아이템을 개발 중에 있으며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음.
삼화콘덴서
차량 전장화 부품과 하이브리드차용 전력변환콘덴서를 생산해 국내 자동차 업체에 공급.
- 동사는 종합콘덴서(축전기)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6년 설립되었으며 1976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됨.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 즉 전력용 콘덴서(FILM), 단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형 콘덴서(MLCC)를 생산하고 있음. 내수면에서는 대형 IT기업과의 안정적인 거래관계 유지로 경쟁사에 비해 상대적 우위에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감소, 영업이익은 20.9% 감소, 당기순이익은 13.9% 감소. 탄소 배출 규제에 따른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 전환으로 부품 수요 증가 예상되어 MLCC 자동차 사업부문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예상됨. 중전기 분야에서 동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연되었던 신규 및 보수분 투자가 진행됨에 따라 수요 확대 전망함.
현대오토에버
시스템통합(SI) 기업으로 계열사인 현대차 및 현대건설을 통해 커넥티드카 플랫폼 구축. 차량과 도로 간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C-ITS 사업도 운영.
- 동사는 2000년 4월 10일에 설립되어 정보시스템 기획(IT 컨설팅), 시스템 구축, 운영 및 유지보수 등의 IT 서비스 사업과 차량 SW 플랫폼, 내비게이션 SW 등을 포함한 차량용 SW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IT 서비스 부문은 크게 SI와 ITO부문으로 나뉨. 차량 SW 플랫폼 사업은 자율주행 및 커넥티비티 등 미래 자동차분야에 적용되는 차세대 고성능 SW 플랫폼과 통신 제어 기능 관련 SW를 개발 및 판매하는 사업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8% 증가, 영업이익은 20.8% 증가, 당기순이익은 40.1% 증가. 전년 대비 매출액이 다소 늘면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증가함. IT 서비스 산업의 디지털 전환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동사는 적극적으로 R&D 투자를 통해 요소 기술 확보 중. 차량용 SW 부문은 독자적 SW 플랫폼 개발하여 현대,기아, 제네시스 전 차종에 적용 중임.
켐트로닉스
자율주행 관련 통신시스템 전문기업. 자동차에 실시간으로 신호 정보를 제공하는 RSU(V2X 단말기 탑재 자동차와 신호등 간 통신을 중계하는 소형 기지국)가 주력제품.
- 동사는 1983년 10월 17일에 (주)협진화학으로 설립되었으며, 2000년 11월 (주)켐트로닉스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07년 1월 17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에 상장함. 동사의 사업은 크게 전자사업과 화학사업으로 구분됨. 전자사업은 전자부품 사업부문, 무선충전 사업부문, 자율주행 사업부문으로 구분되며, 화학사업은 케미칼 사업부문, 디스플레이 사업부문으로 구분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8% 증가, 영업이익은 22.5% 감소, 당기순이익은 78.2% 감소. 동사는 대기업이나 우량기업을 중점적으로 관리하여 신규 제품의 개발이나 기존 제품의 용도개발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매출망 및 시장확대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음. 또한, 모든 자료를 Data Base화 함으로써 구체적인 원가, 대금회수 및 가격 Data를 가지고 각 업체마다 차별화된 영업전략을 수립함.
칩스 앤 미디어
비디오 분야의 시스템 반도체 설계 자산(IP) 개발 및 판매 업체. 자율주행에 활용되는 전자제품들의 ISP(Image Signal Processing) IP와 CP(Computational Photography) IP를 확보해 2018년부터 라이선스 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IP를 보유. 인텔 자회사 모빌아이(Mobileye)에 설계 자산을 공급하면서 자율주행 칩 시장 확장 중.
- 동사는 2003년 설립되어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으로 시스템 반도체 설계 자산(IP) 개발 및 판매를 사업 목적으로 함. 반도체 칩 제조사에 비디오 IP를 라이선스 하고, 반도체 칩 회사는 동사의 비디오 기술 및 자체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TV 등에 들어가는 반도체 칩을 설계, 개발 및 제조하여 납품함. 매출비중은 로열티 59%, 라이선스 37%, 용역 4%로 구성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6% 증가, 영업이익은 99.1% 증가, 당기순이익은 57.8% 증가. 라이선스 매출과 로열티 적용칩 개수가 큰 폭 증가하며 외형 및 수익성 성장. 특히 국내는 2배 수준으로 증가했으며, 다음으로 미국이 가장 높은 증가를 보임. 낮은 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업스케일링(Upscailing) 해주는 슈퍼 레졸루션 기능의 매출본격화로 추후 실적개선이 기대됨.
라닉스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DSRC(단거리 전용통신) 설루션을 개발하여 시장을 확보하고 있으며 WAVE V2X 통신 솔루션 개발을 통해 자율주행 솔루션 국산화를 진행 중인것으로 알려짐. 그 외 보안 및 인증 관련 시스템반도체 및 S/W, H/W 솔루션 등의 기술을 개발.
- 동사는 2003년에 설립되어 무선통신과 보안 및 인증 관련 시스템반도체 및 S/W, H/W 솔루션 등의 기술을 개발하여 사업화하는 토털 솔루션 업체임. 사업부문은 크게 Autonomous Vehicle, Autonomous MCU, Smart Life로 나뉘며, 피부밀착형 복합센서, 스마트워치 등을 개발 진행 중임. 중국시장 진출 관련 현지 대응 강화를 위해 현지 사무소를 확정하여 법인설립을 완료하였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6% 증가, 영업손실은 22.3% 감소, 당기순손실은 56.7% 증가. 중국시장 진출 관련 현지 대응 강화를 위해 현지 사무소를 확정하여 법인을 설립하는 등 본격적인 중국 시장 진출을 진행 중. DSRC 설루션은 지난 10여 년에 걸친 거의 독보적인 국내 시장점유율을 통해 매출을 확보하였음. 또한 자동차 자율주행과 관련된 필수기술을 보유 중임.
HL만도
자동차 부품 모듈 업체. 자율주행 및 운전자 안전 관련 첨단 기능인 HDA(고속도로자율주행), AEB(긴급제동), LKAS(차선이탈방지), SPAS(자동주차) 등 개발·생산.
- 동사는 2014년 한라홀딩스의 자동차부품 제조ㆍ판매업 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2022년 9월 5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사명이 만도에서 HL만도로 변경됨. 동사는 제동, 조향, 현가장치 및 기타 자동차부품의 설계, 조립, 제조, 공급 및 자동차부품의 마케팅, 판매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사업구조 안정화를 위하여 현대기아차뿐 아니라 GM, Ford, 중국 로컬 OEM, 유럽 및 인도 완성차로 고객다변화를 진행 중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6% 증가, 영업이익은 5.2% 감소, 당기순이익은 29.8% 증가. 각 부문에서 고르게 매출이 발생하고, 매출액이 증가했으나 원재료비 및 판관비의 증가로 영업이익은 감소한 모습을 보임. 동사는 완성차업체의 차종별 제품을 생산 및 납품하고 있으나, 완성차 업체의 생산계획에 따라 당사의 수주총액이 결정됨. 따라서 수요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움.
한국단자
자동차·전자용 초정밀 커넥터를 생산해 현대차그룹, 한국 GM, 르노삼성, LG전자 등에 공급.
- 동사는 수익을 창출하는 재화와 용역의 성격에 따라 자동차 및 전자부문 단일사업으로 하고 있음. 품질경쟁력을 기반으로 친환경 자동차에 적용되는 미래기술 전동화 부품을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글로벌 완성차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 생산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음. 내연기관차, 친환경차 부품 제조기술로 다져온 검증된 실력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내실있는 가치를 끊임없이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7% 증가, 영업이익은 44.7% 감소, 당기순이익은 20.9% 감소.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다소 증가하였지만, 매출원가 측면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하였음. 동사는 품질경쟁력을 기반으로 친환경 자동차에 적용되는 미래기술 전동화 부품을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글로벌 완성차의 니즈에 부합하는 제품 생산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음.
텔레칩스
자동차 AVN(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용 반도체 AP, 모바일 TV 수신칩 블루투스, WiFi, GPS 등 셋톱박스 및 차량에 사용되는 커넥티비티 모듈을 개발 및 판매 업체. UltraHD·비디오 IP 제조업체인 자회사 칩스 앤 미디어 지분 34.5% 보유.
- Video Codec IP개발 및 라이센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칩스 앤 미디어를 계열회사로 두고 있음. 동사는 해외시장 확대 및 현지 영업 및 마케팅 강화를 위해 홍콩 현지법인, 미국 현지법인, 중국 현지법인을 각각 100% 출자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음. 각종 모바일방송 표준을 지원하는 모바일 TV 수신칩 그리고 블루투스, WiFi, GPS 등 셋톱박스 및 차량에 사용되는 Connectivity 모듈을 개발 및 판매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2% 증가, 영업이익은 380% 증가, 당기순이익은 2472.4% 증가. 동사는 2022년도 3분기에 자동차용 반도체 매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6.2% 증가한 약 1,064.3억 원의 매출액을 시현함. 동사는 주력시장인 IVI 시장에서의 매출극대화를 위하여 Car Audio/AVN 제품 라인업 추가와 중국, 일본 등 해외시장 공략을 진행 중에 있음.
캠시스
휴대폰 카메라모듈, 차량용 카메라 제조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자율주행을 위한 실시간 센싱융합처리가 가능한 커넥티드 차량 시스템, 협력적 주행 상황인지, 개방형 플랫폼 기술 개발 국책과제 완료.
- 동사는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생체정보인식 및 정보보안기술 응용제품, 전기자동차 및 관련 핵심부품에 대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는 휴대폰 카메라모듈을 주력아이템으로 개발, 생산하여 주 고객사인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에 공급하고 있음. 저화소급 공급이 증가됨에 따라 당사는 경쟁력 없는 저화소급에서 고화소인 8M급 이상 13M급, 16M급, 24M급, 32M 이상 급 모듈 생산으로 전환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2.5%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카메라 모듈의 경우 수주 경쟁이 치열하고, 거래 통화인 달러화의 환율에 따라 가격변동이 발생. 삼성전자 1차 협력사로서 주력사업인 스마트폰 카메라모듈 시장에서 선도 업체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으며, R&D 역량 기반으로 기술진입장벽 강화 노력 중임.
대성엘텍
ADAS 시스템 및 AVM 제품군인 FCWS(전방추돌방지시스템), LDWS(차선이탈방지시스템) 등 개발.
- 동사는 1979년 대성정밀로 설립됐다가 1999년 대성엘텍으로 상호변경하였으며, 1995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됨. 카오디오, 앰프 등 자동차용 멀티미디어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함. 주요 고객인 현대모비스에 납품한 제품은 최종적으로 완성차 메이커인 현대/기아차에 판매됨 알파인에 납품한 제품은 일본 도요타, 미국 크라이슬러 등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에 판매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1% 증가, 영업손실은 78.4% 감소, 당기순손실은 68.4% 감소. 전사업부문 고른 성장세로 외형은 확대되었으며, 고정비 동반 상승에도 영업손실의 적자폭이 축소됨. 동사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상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기존 WIN CE OS를 탑재한 제품군에서 안드로이드 기반의 차량 멀티미디어 복합 제품군으로 확대 개발 진행 중임.
아이쓰리시스템
자율주행의 기술로 알려진 적외선 영상센서 제조 기술 보유. 자동차 야간 장애물 감지나, 자동긴급제동(AEB)용 초소용 적외선 MEMS칩 개발해 양산 중.
- 동사는 1998년 7월 11일에 설립되어 적외선 영상센서, 엑스레이 영상센서 및 이를 장착한 전자제품의 개발·제조·판매를 주요 사업 영위함. 주력 제품으로는 적외선 영상센서, 엑스레이 영상센서, 적외선 영상 시뮬레이터 등으로 다양한 영상 관련 시스템 등을 개발·제조·판매하고 있음. 동사는 국내에서 최초로 적외선 영상센서의 개발 및 양산에 성공한 기업으로 국내시장에서 군수분야에서 독점적 지위를 확보 중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 감소, 영업이익은 2430.6% 증가, 당기순이익은 187.6% 증가. 해외의 Hamamatsu, Teledyne Dalsa 등이 생산하는 간접방식 엑스레이 영상센서와는 차별화된 차세대 직접방식 엑스레이 영상센서 개발에 성공함. 동사의 적외선 영상센서는 4차 산업 진전 및 기술혁신과의 융합에 따라 향후 자동차, 드론, 휴대폰, IoT 등 분야로의 확산도 기대됨.
삼보모터스
자회사인 자동차용 플라스틱 제품 및 금형 생산업체 프라코(지분 100%)는 율주행차의 차간 거리 조정 등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SCC COVER(크루즈 콘크롤 커버) 개발. ADAS 관련 부품 등도 개발 중.
- 동사는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를 구성하는 부품 및 파이프류 제품을 전문 제조하는 자동차부품 제조업 체임. 동사는 제증명서 자동발급기의 제조, 판매 및 IT 셋톱박스의 판매를 주목적으로 1987년 9월 25일에 설립했으며 총 9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음. 창사 이래 주요 아이템인자동차용 Pipe와 오토 트랜스미션용 Plate의 기술력과 품질보증력으로 현대, 기아차뿐만 아니라 해외 완성차에도 공급을 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7% 증가, 영업이익은 36.4% 감소, 당기순이익은 14.8% 증가. 판매량 증가에 따라 매출액이 증가하였으며, 고정비 동반상승으로 영업이익은 감소세를 보임. 반면 비영업이익의 증가로 순이익은 성장세를 유지함. 동사는 현재 국내완성차 업계의 OEM 매출에 편중된 영업활동을 개선하고자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매진하고 있음.
엔지스테크놀로지
커넥티드카 설루션 및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 개발업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외부통신망과 효율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커넥티드카 솔루션 기술인 "Nav-Link" 설루션과 커넥티드카의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Bring Go"가 주력. 커넥티드카의 통신모듈 탑재와 함께 필수 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OTA(Over the Air) 설루션' 개발.
- 1998년 설립된 동사는 커넥티드 내비게이션 설루션, OTA 솔루션, Connected ADAS 솔루션 등을 글로벌 전장업체 및 완성차업체에 공급. 스마트폰을 이용해 자동차를 외부통신망과 효율적으로 연결시켜주는 'Nav-Link' 솔루션 및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BringGo'를 스마트폰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 커넥티드카의 필수 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OTA(Over-The-Air) 설루션'을 개발완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95.3%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2020 사업연도, 2021 사업연도 반기 및 2021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의견이 '의견거절'임에 따라 상장폐지사유가 발생하였음. 한국거래소는 2022년 5월 31일 기업심사위원회를 개최하여 동사 주권의 상장폐지 여부를 심의함. 추후 기업심사위원회에서 심의를 속개하여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
MDS테크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설루션 제공업체. 자율주행차 검증을 위한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솔루션 개발.
- 동사는 1998년 12월 법인으로 설립되어 임베디드 시스템 토털 설루션 공급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06년 9월 26일에 코스닥 증권시장에 상장함. 동사는 임베디드SW 개발 전반적인 과정에 필요한 솔루션 및 플랫폼들을 제공하는 사업을 주로 하고 있음. 또한 고객의 필요에 맞게 시스템 구현을 위한 필수 요소를 함께 제공함과 동시에 그에 필요한 엔지니어링, 컨설팅, 교육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매출을 창출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4% 감소, 영업이익은 54.7%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해서 한편으로는 기존의 임베디드 개발 설루션의 지속적인 기능 업그레이드를 수행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또한, 기존의 보유 기술을 통합하고 신기술을 개발하여 신규 시장 및 신규 사업 분야를 개척하여 회사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자 함.
유비벨록스
스마트 모바일(스마트폰, 스마트카) 및 스마트카드 전문기업으로 다양한 영역에 Embeded S/W Total solution 제공.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제조사인 팅크웨어 지분 26.0% 보유(2021.09.30 기준).
- 2000년 9월에 설립되어 2010년 6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으며 스마트카드와 스마트모바일사업 및 블랙박스, 지도플랫폼 사업을 영위함. 스마트카드 판매 및 관리시스템 공급을 영위하는 스마트카드 부문과, 비콘공급 및 모바일 플랫폼 설루션, 스마트폰용 콘텐츠, App Store 구축 및 관리를 영위하는 모바일 부문으로 구분됨. 당기말 기준 팅크웨어, 아이나비 등 총 12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4.3% 증가, 영업이익은 21.1% 감소, 당기순이익은 1.8% 증가. 주력 사업이 호조를 보이며 외형이 크게 성장했으나 매출원가율이 급격하게 악화되었고 판관비 등 고정비 증가 등으로 영업손익 개선을 이뤄지지 못함. 블랙박스/지도플랫폼 사업은 다양한 유통채널 확보, 해외 수출 시장 확대 및 완성 차사/통신사/포털사 등 B2B 공급 확대를 추진함.
THE MIDONG
차량용 블랙박스 전문기업. 국내 최초로 차선이탈경보 시스템을 탑재한 ADAS 블랙박스 ‘유라이브 U5’를 출시.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ADAS) 핵심기술 보유.
- 동사는 2009년 설립되었으며, 차량용 영상저장장치(이하 '블랙박스') 제조 및 판매를 주력으로 하고 있음. 동사가 보유한 운전자지원 시스템, 영상저장 및 처리 기술을 통해 제품을 개발하여 외주 생산업체를 통해 제품을 생산, 오프라인 및 온라인 판매를 통해 소비자에 판매하는 구조를 가짐.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루지(Luge)사업을 중국에서 본격화 할 예정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8% 감소, 영업손실은 75.1% 감소, 당기순손실은 1.9% 감소. 2018년 이후 전무한 블랙박스 관련 연구개발을 바탕으로 매출은 대폭 감소하였으나, 판관비의 감소를 바탕으로 영업손실 감소. 대리미산문화관광유한공사의 지분취득으로 루지 카트, 트랙 설계와 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해 기술력을 입증하고, 중국 루지산업에 진출한 국내 최초 기업으로 사업 확대를 구상함.
유니퀘스트
비메모리 반도체 판매 및 ADAS 설루션 제공사업 영위. AI 기반의 자율주행 영상인식 알고리즘 연구·개발 업체 에이아이매틱스 지분 50.36% 보유. 현대차그룹에 LDW(차선이탈경보)를 공급한 바 있으며, 알고리즘 기반 ADAS Chip 생산.
- 비메모리반도체 솔루션 공급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3년 개인회사로 시작하여 1995년 11월 법인으로 전환함. 해외 유수의 비메모리 반도체 제조사로부터 우수한 반도체를 국내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대리점계약을 통해 반도체를 포함한 기술지원, 교육 등 토털설루션사업을 영위함. 2022년 9월 말 현재 종속회사는 AI매틱스(ADAS설루션) 1개사임. 창업투자조합 3곳에 투자함. 상장사인 드림텍과 나무가 등을 계열회사로 둠.
- 반도체 유통과 차량용 전장 모두 실적이 증가함에 따라 22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6.7% 증가함. 고정비용 부담 감소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의 1.5배 수준으로 급증함. 전자부품회사인 드림텍에 대한 지분법이익도 늘어남. 종속기업의 FMS사업 등이 시장 안착 시 차량용 전장부품 전반에 시너지가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22년 들어 주가 안정화를 위해 대신증권과 35억 원 규모의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을 체결함.
유니트론텍
전자부품 제조사. 자동차 시장용 무선 통신 및 위치추적 반도체와 모듈을 공급하는 ublox사의 GNSS와 통신 모듈 등의 반도체를 국내 전자제품 및 자동차 업체에 공급.
- 동사는 주요 사업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품을 유통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회사로 오스코, 지피아이를 두고 있음. 주요 상품으로는 메모리 반도체 관련 모든 제품과 비메모리 반도체, 전장용 디스플레이 모듈이 있음. 주요 고객사는 국내외 자동차 부품사 및 협력사임. 매출 구성은 반도체 61.62%, 디스플레이 35.88%, 2차 전지 장비 1.63% 등으로 구성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5.4% 증가, 영업이익은 163.5% 증가, 당기순이익은 128.2% 증가. 반도체 사업 부문 매출이 매출액 증가에 큰 역할을 하고, 종속회사 지피아이를 통해 2차 전지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또한 전기에 비해 1.63% 증가하였음. 신규사업 및 전방산업인 자동차 산업 환경 개선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매출이 증가하였음.
큐에스아이
라이다(반사된 레이저로 물체 거리를 감지하는 기술)에 활용할 수 있는 거리측정시스템에 관한 특허 취득한 바 있음.
- 동사는 2006년 11월 24일에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주식이 거래되고 있음. 동사는 동사를 포함하여 총 2개의 계열회사가 있고, 동사 및 종속회사는 반도체 레이저 관련 제품 등의 제조·판매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음.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Total Solution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본의 대기업과는 차별화된 개별 고객 맞춤형 제품의 대응이 가능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4% 감소, 영업이익은 38.8% 감소, 당기순이익은 40.9% 증가. 동사 매출액이 감소하여 매출원가도 축소되었지만 판관비가 증가해 이익률이 악화됨. 영업이익은 감소했지만 당기순이익은 증가함. 동사는 일본의 경쟁기업과 달리 반도체 레이저 원천기술의 확보와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Total Solution 을 구축하고 있음.
모바일어플라이언스
자율주행·스마트카 설루션 업체. 내비게이션, HUD(Head Up Display), 자율주행과 관련된 안전보조장치인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차량사고 보안과 관련된 CAR DVR(블랙박스) 등 개발·제조.
- 동사는 2004년 4월 19일 설립된 스마트자율주행 솔루션 전문기업임. 딥러닝과 빅데이터 기반의 영상인식에 커넥티드 통신모듈이 연동된 플랫폼 제품, 레이더이벤트기록장치, 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졸음운전 감지장치, 헤드업디스플레이 (HUD) 등 스마트 자율주행 관련 제품을 생산 중임. 주요 고객은 현대모비스와 함께 2014년부터는 BMW, 아우디를 시작으로 벤츠 등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2%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20.6% 감소. 동사는 2022년도에도 BMW, 아우디, 벤츠사로의 해외 수출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 해외 매출 증대를 위하여 회사의 역량을 집중할 예정. 스마트카 및 완전자율주행자동차의 기반 기술이 될 수 있는 레이다영상기록장치, ADAS, HUD 등의 제품들을 선정하여 개발.
팅크웨어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제조. 음성인식 및 차선 이탈 감지 블랙박스 출시. 기존 블랙박스와 스마트폰을 연동하는 서비스인 '아이나비 커넥티드', 디지털 AR설루션(내비게이션에서 AR기술을 입혀 경로안내, ADAS 기능 제공) 등도 개발.
- 동사는 1997년 3월에 설립되었으며 내비게이션 및 Map S/W, 차량용 블랙박스, 태블릿 PC, LBS(위치기반서비스) 사업을 영위. 아이나비 내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아이나비 Black` 출시를 시작으로 동 사업에 진출하였으며 이후 HD부터 QHD까지의 고화질 블랙박스 출시를 통해 보급형과 고급형 제품 라인업을 구축. 차선이탈경보, 전방추돌경보, 앞차출발 알림 등 운전자의 운전 편의성을 높임.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0.5% 증가, 영업이익은 39% 감소, 당기순이익은 309.4% 증가. 동사의 매출은 크게 증가하며 외형 성장을 보였으나 매출원가와 판관비, 인건비 등 고정 비용 부담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됨. 향후 통신사 및 보험사와 연계하여 5G, AI, 빅데이터 등 기술을 탑재한 지능형 커넥티드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임.
픽셀플러스
이미지센서 설계 업체. 주요 제품은 자동차 카메라용 CMOS 이미지센서 및 주변 부품.
- 2000년 이미지센서 및 카메라 모듈 개발, 제조 및 공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2013년 보안 카메라 시장 점유율 1위, 차량용 Camera SOC를 연구개발함. CMOS 이미지센서의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반도체 설계 전문회사이며, CMOS이미지 센서의 웨이퍼 및 패키지 공정을 위탁 제조하여 판매하는 Fabless회사임. 당기말 현재 주요 제품의 매출 비중은 센서 87.7%, Non-Sensor 12.2%, 기타 등으로 구성됨.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42.7% 증가, 영업이익은 186.4% 증가, 당기순이익은 210.3% 증가. 매출 비중이 높은 아날로그 이미지센서 사업의 실적 호조가 이어지며 외형이 성장했고, 비용 절감으로 영업손익과 순손익 모두 개선됨. 자동차용 이미지센서의 개발을 토대로 향후의 실적추이가 주목됨.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해 차별화, Time to market, 연관 시장 확대 전략 등을 보유하고 있음.
코리아에프티
자동차 연료시스템 부품(케니스터, 휠라넥 등), 의장부품(차량내부 인테리어) 등 생산. 자율주행차 핵심기술인 자동긴급제동시스템(AEBS) 소프트웨어 센서 칩 'SKND' 및 머신러닝 기반의 ADAS 소프트웨어(SW) 알고리즘을 개발.
- 동사는 1996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자동차 부품을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12년 3월 스펙합병을 통해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음. 동사는 현대차, 기아를 주요 매출처로 하여 자동차의 골격이 되는 차체 부품의 제조, 공급 및 판매회사임. 매출구성은 폴란드 47.67%, 국내법인 45.59%, 중국 7.64%, , 인도 6.68%, 미국 3.44%, 연결조정 -11.02%로 이루어져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5% 증가, 영업이익은 32.6% 증가, 당기순이익은 17% 증가. 동사의 주력 생산제품 중 카본캐니스터는 국내 점유율 1위, 글로벌 점유율 전체 4위를 차지하고 있음. 동사의 플라스틱 필러넥은 국내시장의 100%를 공급하고 있고, 국산화에 성공한 자동 차양 장치는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점차 확대할 예정임.
오비고
스마트카 소프트웨어(SW) 플랫폼 제공. AGB 브라우저, 앱 프레임워크, 개발 툴킷, 앱 스토어 등 스마트카 SW 플랫폼과 스마트카 콘텐츠 서비스를 개발해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등의 완성차 업체에 공급.
- 동사는 2003년 3월 설립되었으며, 스마트카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소프트웨어 설루션 및 콘텐츠 서비스 사업의 두개의 축으로 자동차 차량제조사(OEM), 차량공급사(Tier1) 및 통신사를 고객으로 하는 B2B 사업을 영위함. 스마트카 컨텐츠 서비스 사업은 시작단계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중심으로 지역별 서비스(음악, 날씨 등)를 오비고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9% 증가, 영업손실은 30.2% 감소, 당기순손실은 36.2% 감소. 동사의 설루션이 탑재될 때마다 대당 수취하는 로열티 매출은 향후 당사의 주력 매출이 될 것으로 기대됨. 동사는 차량의 커넥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시장에서 상용화에 성공하며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어, 2019년부터는 세계 Top OEM 차량에 탑재되고 있음.
파인디지털
차량용 내비게이션 및 블랙박스, 이동통신장비 등 개발·판매. 항공우주연구원과 기술이전 계약을 맺고 초정밀 위성위치 확인시스템 기술 상용화 연구 중.
- 동사는 유·무선통신장비 개발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2년 설립되었으며, 1999년 명신정보시스템을 흡수합병하고 상호를 '파인디지털'로 변경함. 주요 사업은 차량용 블랙박스/내비게이션 장치 및 골프거리측정기 개발/판매이며 주요 판매처는 온라인쇼핑몰, 오픈마켓, 대리점 등임. 내비게이션 및 블랙박스 제품의 경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B2C 판매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사업부문별로 블랙박스 12%, 골프거리측정기 19% 매출이 감소함에 따라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함. 파인뷰라는 브랜드로 우수한 기술력과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고급형 블랙박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자체 전자지도를 보유, 지도개발 및 품질 업그레이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에이테크설루션
라이다(반사된 레이저로 물체 거리를 감지하는 기술) 관련 국책과제 참여해 개발 중으로 알려짐.
- 동사는 삼성전자 정밀기기팀의 기계설비를 취득하여 가전, 디스플레이, 자동차 및 정보통신용 금형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음. 동사의 가전용 사출금형으로는 DTV,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외관금형이며, 디스플레이용 금형으로는 DTV 내부 Frame 금형, 모니터 금형이 있음. 축적된 금형기술을 기반으로 정밀구동부품, OA제품, Gear Box Ass'y, LED LeadFrame 등을 생산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2% 감소, 영업이익은 29.6% 감소, 당기순이익은 25.9% 감소. 외형 축소로 인해 매출원가도 감소했지만 판관비가 증가하여 영업이익이 감소함. 제품기획 단계에서부터 제품설계, 금형, 사출, 생산, 시장출시 단계까지 모두 총괄하는 회사가 목표. 신시장인 터키, 인도, 러시아, 슬로바키아 등에 대한 진출로써 해외영업을 다양화하여 매출처 다변화를 추진 중임.
앤씨앤
자동차용 운행영상기록장치 (블랙박스) 업체. 영상보안장비에 특화된 멀티미디어 팹리스 반도체 설계 사업도 영위.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전문업체 베이다스(지분 100%)를 자회사로 보유.
- 동사는 1997년 5월에 설립되어, 영상보안시장향 멀티미디어 반도체 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며 이 밖에 자동차용 운행영상기록장치(블랙박스) 사업을 영위함. 2019년 Automotive 사업 부분을 물적분할하여 넥스트칩 설립 및 자회사 앤 커넥스 흡수합병 및 분할 존속회사 앤씨앤을 출범함. 매출은 차량용 블랙박스 94.11%, 영상처리칩 5.89%의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4% 감소, 영업손실은 150.6% 증가, 당기순손실은 15.5% 증가. ADAS 기능을 특화한 블랙박스와 차량관제시스템(FMS)도 개발 중. 동사는 자회사인 넥스트칩의 인공지능 반도체와 함께 베이다스의 인공지능 기반 사물 인식 소프트웨어의를 활용하여 운전자지원시스템(ADAS)의 기능이 업그레이드된 블랙박스 및 SVM 시스템 등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인포뱅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설루션 및 서비스 사업 영위. 자율주행, 스마트카 관련 특허 100여개 보유.
- 동사는 유무선 및 방송 통신네트워크 소프트웨어 개발 및 서비스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5년 6월 14일에 설립되었음. 스마트카 서비스 부문은 커넥티드 카 솔루션 구축 기술을 토대로 자율주행 이동체 관제 플랫폼 사업을 선도하고 있음. 주요 종속회사는 서비스사업(기업용 메시징서비스, 양방향미디어서비스, 스마트카 서비스 등)과 기타 사업(S/W 개발 및 설루션등)을 진행.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8% 증가, 영업이익은 95.3% 감소, 당기순이익은 53.2% 감소. 기타 모바일서비스 부문에서 전년동기대비 43.2% 증가함에 따라 전체 매출 증가하였지만 원가, 판관비, 인건비가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감소함. 관련 업계에선 이미 선도적인 시장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스마트카 분야의 자동차 전장부품 S/W 개발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을 진행 중.
유진로봇
자율주행 기술에 적용되는 2D 스캐닝 라이다 ‘YRL2 시리즈', 실내용 자율주행기술에 적용되는 3D 스캐닝 라이다 ‘YRL3 시리즈’ 등 개발·생산.
- 1988년 설립되었으며, 2005년 상장됨. 자율주행 로봇설루션, 물류로봇, 청소로봇 및 스마트팩토리 분야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언택트 시대 자율주행 기술 및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동사는 그동안 축적된 노하우 및 신규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에 필요한 토털 설루션(AMS: Autonomous Mobility Solution)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 2022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0.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 지난해 출시한 로봇청소기 신제품 매출 및 해외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고, 지난해부터 추진한 자율주행설루션과 로봇화패 키지 등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이 주효함. 2020년도부터 진행된 자회사 지분매각에 따른 경영 효율화 노력이 빛을 발하는 중. 2022년 8월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코리아와 30억 원 단일 판매 계약을 체결함.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인트 관련주 테마주 이슈 / 뉴스 / 소개 (0) | 2023.02.03 |
---|---|
STO(토큰증권) 관련주 테마주 이슈 / 뉴스 / 소개 (0) | 2023.02.02 |
코스닥 상승에 투자하는 관련 ETF소개 (0) | 2023.02.02 |
항공 우주 미사일 위성 관련주 테마주 이슈 / 뉴스 / 소개 (0) | 2023.02.02 |
현대·기아차 부품주 관련주 테마주 이슈 / 뉴스 / 소개 (1) | 2023.02.02 |
댓글